골반저근 훈련(pelvic floormuscle training; PFMT) 또는 골반저근 물리치료(pelvic floorphysical therapy; PFPT)는 다양한 골반 기능 장애에 대한 보존적이고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19년 Current Opinio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impact factor; 2.2)에 소개된 Wallace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골반저근 물리치료의 효과, 적응증, 그리고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운동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골반저근 훈련이란 무엇인가?골반저근 훈련(PFMT) 또는 골반저근 물리치료(PFPT)는 전문 물리치료사가 지도하는 골반 근육 강화, 이완, 조정 운동을 포함하는 훈련법이나 ..
서론햄스트링 부상은 달리기 운동이나 축구, 농구와 같은 스포츠에서 가장 흔한 근육 부상 중 하나로, 선수들의 경기력과 경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햄스트링 부상의 재발률은 약 12-33%에 달하며, 이는 적절한 예방과 재활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글에서는 2018년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impact factor; 3.5)에 소개된 Hegyi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햄스트링 근육의 부위별 활성화 패턴과 이를 트레이닝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햄스트링 근육의 해부학적 이해햄스트링은 대퇴 후면에 위치한 세 가지 주요 근육 그룹으로 구성됩니다:대퇴이두근 장두(Bic..
서론: 무릎 골관절염과 기능적 한계무릎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관절 질환 중 하나로, 특히 노년층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입니다.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은 주로 통증, 운동 범위 제한, 강직(stiffness), 그리고 근력 저하를 경험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결국 신체적 활동 저하와 장애로 이어져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립니다.특히, 대퇴사두근(넙다리네갈래근; quadriceps femoris)의 약화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에게서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대퇴사두근의 지속적인 약화는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증가시키고, 관절 손상의 진행을 촉진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대퇴사두근의 기능적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서론아킬레스건 파열(Achilles tendon rupture)은 중년 남성, 특히 스포츠 활동 중인 사람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상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킬레스건 파열의 발생률은 10만 명당 69명에 이를 정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40~60대 및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그 빈도가 두드러집니다(Huttunen et al., 2014; Moller, 1996; Ganestam et al., 2015).아킬레스건이 파열된 환자들의 대부분은 레크리에이션 스포츠나 사회적 스포츠 활동 중 부상을 입으며, 부상 후에도 동일한 활동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강한 열망을 보입니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부상 후 1년이 지나도 절반 이상의 환자가 원래의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이 ..
고단백 다이어트는 정말 건강에 좋은가?현대 사회에서 다이어트와 건강 관리의 중요한 방법으로 고단백 다이어트(High-Protein Diet, HPD)가 널리 확산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체중 감량과 근육량 증가를 위해 탄수화물을 줄이고 단백질 섭취를 늘리는 방식의 식단을 따르고 있습니다. 실제로, 아트킨스 다이어트(Atkins Diet), 존 다이어트(Zone Diet), 사우스비치 다이어트(South Beach Diet), 케톤제닉 다이어트(Ketogenic Diet) 등의 다이어트 방법이 등장하면서 단백질의 섭취가 건강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고단백 다이어트가 체중 감량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신장 건강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1. 음식물 과민증(food intolerance)음식물 과민증(food intolerance)은 특정 음식이 체내에서 제대로 소화되거나 흡수되지 않아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면역계가 개입하는 음식 알레르기(food allergy)와는 다르며, 주로 효소 결핍, 발효 과정, 화학적 반응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전 세계적으로 음식물 과민증을 경험하는 사람의 비율은 약 10~20%에 달하며, 소화기 증상뿐만 아니라 두통, 피로, 피부 트러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진단 기준과 검사법이 부족하여 많은 사람이 자가 진단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음식물 과민증의 다양한 기전과 진단의 한계2.1 주요 기전음식물 과민증의 주요 기전은 다음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