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근육량 감소는 노화와 함께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이는 근력 저하와 기능적 이동성 감소로 이어져 노인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특히, 노화로 인한 근위축증(Sarcopenia)은 보행 장애, 낙상 위험 증가, 심지어 조기 사망률 상승과도 관련이 있다. 따라서 노화로 인한 근육량 감소를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근력 운동이 근육량과 근력을 증가시키는 가장 강력한 방법으로 여겨지지만, 신체적인 제약이나 운동 수행 능력의 한계로 인해 노인들에게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이에 대한 대안으로 전기 근육 자극(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이 주목받고 있다. NMES는 외부에서 전류를 이용하여 근육을 강제적으로..
1. 서론동적 무릎 외반(Dynamic Knee Valgus, DKV)은 무릎이 내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현상으로, 주로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하는 부상과 깊은 연관이 있다. 특히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부상과 같은 심각한 부상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훈련법과 재활 프로그램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실시간 시각적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운동이 DKV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본 글에서는 실시간 시각적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운동이 DKV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효과적인 재활 및 예방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최적의..
서론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질환으로, 신경 손상으로 인해 운동 기능 저하, 균형 문제, 근력 약화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효과적인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한다. 2019년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에 기재된 Amiri 등의 연구에 따르면 코어 안정성 훈련(core stability training)이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균형과 근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했다. 본 글에서는 10주간의 코어 안정성 훈련 프로그램이 다발성 경화증 여성 환자의 균형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어 안정성 훈련..
1. 서론신경 가소성(neuronal plasticity)은 신경세포가 경험과 활동에 따라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신경계가 손상 이후 회복되거나 새로운 기능을 학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운동 재활 및 신경 자극 기술이 신경 가소성을 어떻게 촉진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본 글에서는 신경 활동과 신경 가소성의 관계, 신경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의 역할, 즉각 초기 유전자(immediate early genes, IEGs)와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탐구하고, 이를 운동 재활 및 전기·자기 자극을 활용한 치료법과 연계하여 논의하겠다. 2. 신경 활동과 신경 가소성의 기전2.1 신경세포의..
1. 서론어깨와 척추는 근육 및 신경 연결을 통해 밀접한 생체역학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견갑대(shoulder girdle)와 척추를 연결하는 주요 근육으로는 등세모근(승모근; trapezius), 어깨올림근(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목뼈 폄근(경추 신전근: cervical extensors), 그리고 목뼈 굽힘근(경추 굴곡근; cervical flexors)이 포함된다. 이러한 근육군의 불균형적 활성은 경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흉추의 정렬 이상(thoracic spinal malalignment)은 어깨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척추 정렬이 어깨 역학에 미치는 영향경추 신경 병변과 회전근개 ..
전방십자인대(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부상은 단순한 관절 손상을 넘어 신경계 전반에 걸친 변화를 유발하는 심각한 부상이다. 부상 후에는 신경계의 적응 과정이 발생하면서 관절성 근육 억제(Arthrogenic Muscle Inhibition; AMI)가 나타나는데 이는 넙다리네갈래근의 활성 저하와 근력 약화를 초래하여 재활 과정에서 극복해야 할 주요 장애물 중 하나로 작용한다. 따라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R) 이후의 효과적인 재활을 위해서는 신경생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전방십자인대 부상 후 신경생리학적 변화전방십자인대가 손상되면 부종, 통증, 염증, 이완성 증가 등의 문제로 인해 관절의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