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근력 훈련과 스포츠 과학 분야에서 근력 평가의 정확성과 신뢰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근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널리 사용되는 1RM(One-Repetition Maximum) 테스트는 운동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체력 평가에서도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1RM 테스트는 특정 운동에서 한 번만 반복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개별적인 근력 수준을 평가하고 훈련 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된다.
하지만 1RM 테스트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일관되지 않으며,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변수가 테스트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운동 선택, 사전 적응 세션(연습 세션)의 유무, 대상자의 저항 훈련 경험 등과 같은 요인이 1RM 테스트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따라 1RM 테스트의 신뢰도를 명확하게 규명하고, 특정 조건에서 얼마나 안정적인 결과를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근력 측정의 과학적 타당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2020년 저널지 Sports Medicine(impact factor : 9.3)에 소개된 Gric 등의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검토(Systematic Review)를 통해 1RM 테스트의 신뢰도를 평가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1RM 테스트의 실제 신뢰도를 규명했다. 또한, 그들은 1RM 테스트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트레이너와 연구자가 보다 신뢰성 높은 측정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했다. 그들의 연구에서는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신뢰도 평가를 위해 ICC(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내적 상관 계수)와 CV(Coefficient of Variation, 변동 계수)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1RM 테스트가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평가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향후 근력 평가 연구 및 실무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한다.
연구 방법
1RM 테스트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8개의 주요 데이터베이스에서 연구를 검색하였으며, 총 1,024개의 연구 중 32개 연구(총 참가자 수: 1,595명)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1RM 테스트의 테스트-재테스트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를 평가한 연구
- ICC 및 CV 값을 제공하는 연구
- 연구의 방법론적 질이 COSMIN 기준에서 중간 이상인 연구
이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구별 ICC와 CV 값의 범위를 도출하고, 1RM 테스트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 결과, 1RM 테스트의 신뢰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ICC 값: 0.64 ~ 0.99 (중앙값: 0.97)
- 92%의 연구에서 ICC가 0.90 이상, 97%의 연구에서 0.80 이상으로 보고됨
- CV 값: 0.5% ~ 12.1% (중앙값: 4.2%)
- 대부분의 연구에서 CV가 10% 미만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임
- 테스트 조건별 신뢰도 분석:
- 저항 훈련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신뢰도가 높음
- 단관절 및 다관절 운동 모두 신뢰도 높음
- 상체 및 하체 운동 평가에서 유사한 신뢰도
- 성별 및 연령(청년~노인)에 관계없이 높은 신뢰도 유지
대부분의 연구에서 테스트 간 체계적인 차이(systematic change)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1RM 테스트가 일정한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1RM 테스트가 전반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가지며, 다양한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근력 평가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특히, 1RM 테스트의 신뢰도는 대상자의 저항 훈련 경험, 사전 적응 세션 유무, 단관절 및 다관절 운동 여부, 상체 또는 하체 평가 여부, 성별, 연령과 관계없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RM 테스트가 다양한 인구 집단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체력 측정 및 운동 처방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ICC가 0.90 이상으로 보고되었으며, CV 값 역시 10% 미만으로 나타난 점은 1RM 테스트가 반복 측정 시 높은 일관성을 가지며, 측정 오차가 크지 않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연구자 및 실무자들은 1RM 테스트를 활용하여 개인의 근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스포츠 과학 및 트레이닝 현장에서 1RM 테스트를 보다 신뢰성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일부 트레이너들은 1RM 테스트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차례의 적응 세션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전 적응 세션이 없어도 1RM 테스트의 신뢰도는 충분히 높다. 이는 트레이닝 계획을 수립할 때 불필요한 절차를 줄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근력 평가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1RM 테스트의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특정 운동(예: 스쿼트, 벤치 프레스, 데드리프트 등)에 따른 신뢰도 차이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거나, 고령층 또는 특수 인구 집단(재활 환자, 운동 선수 등)에서 1RM 테스트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1RM 테스트 결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 로드 셀(load cell) 또는 모션 캡처 시스템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1RM 테스트가 신뢰할 수 있는 근력 평가 방법이라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하며,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근력 측정 및 트레이닝 전략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Grgic, J., Lazinica, B., Schoenfeld, B. J., & Pedisic, Z. (2020).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one-repetition maximum (1RM) strength assessment: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icine-open, 6, 1-16.
'physical train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상 예방을 위한 햄스트링과 대퇴사두근의 근 활성화 패턴 연구 (0) | 2025.03.25 |
---|---|
푸쉬업과 벤치프레스의 비교: 효과적인 트레이닝을 위한 가이드 (0) | 2025.03.24 |
스쿼트와 런지의 근육 활성도 비교: 효과적인 하체 강화 전략 (0) | 2025.03.22 |
유소년 축구 선수들의 운동 능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 (0) | 2025.03.22 |
간헐적 단식(IF)과 시간제한 식사(TRE)의 비교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