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팔 저림과 통증의 숨겨진 원인: 소흉근 증후군(Neurogenic Pectoralis Minor Syndrome)

소흉근 증후군이란?

소흉근 증후군(Neurogenic Pectoralis Minor Syndrome, NPMS)은 쇄골 아래에서 발생하는 상완신경총 압박 질환으로, 많은 의사들이 간과하고 있는 팔 통증과 저림의 중요한 원인입니다. 2017년에 발표된 Sanders & Annest의 연구에 따르면, 어깨와 팔 통증으로 내원하는 환자의 약 15-20%가 소흉근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흉근은 흉곽 앞쪽에 위치하여 견갑골의 오구돌기에 부착되는 근육으로, 이 근육 아래로 중요한 신경과 혈관이 통과합니다. 소흉근이 단축되거나 긴장되면, 그 아래를 지나는 상완신경총을 압박하여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상완신경총 압박: 쇄골 위와 아래의 차이

당신의 팔 저림과 통증의 숨겨진 원인: 소흉근 증후군(Neurogenic Pectoralis Minor Syndrome)
소횽근과 상완신경총 해부학

 

상완신경총은 두 가지 주요 부위에서 압박될 수 있습니다:

  1. 쇄골 위: 흉곽출구 부위에서 발생하는 신경성 흉곽출구 증후군(NTOS)
  2. 쇄골 아래: 소흉근 아래에서 발생하는 신경성 소흉근 증후군(NPMS)

이 두 증후군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해부학적 위치와 원인이 다릅니다. 아래 표는 상완신경총이 통과하는 세 가지 해부학적 공간을 보여줍니다:

해부학적 공간 위치 관련 증후군
사각근 삼각형 쇄골 위 흉곽출구 부위 NTOS
늑쇄골 공간 쇄골 직하방 NTOS/NPMS
소흉근 아래 쇄골 아래 NPMS

원인과 위험 요소

소흉근 증후군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상성 원인

  • 교통사고
  • 낙상 (계단에서, 빙판 위에서, 미끄러운 바닥에서)
  • 급작스러운 어깨나 팔의 외상

2. 반복성 스트레스 손상(RSI)

소흉근 증후군은 특히 견갑골 후인(견갑골을 뒤로 당기는 동작)이 포함된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해 발생합니다. 다음과 같은 활동이 위험 요소입니다:

  • 수영: 특히 접영과 자유형
  • 야구: 특히 투수
  • 배구: 오버헤드 스파이크와 서브
  • 역도: 특히 벤치프레스
  • 컴퓨터 작업: 장시간의 키보드 사용
  • 조립 라인 작업: 반복적인 상지 움직임

3. 자발적 발생

일부 환자들은 특정 외상이나 사건 없이 증상이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경추 늑골(cervical rib)이나 비정상적인 첫 번째 늑골과 같은 해부학적 변이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소흉근 증후군의 주요 임상 증상

소흉근 증후군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증상을 보입니다:

1. 통증

  • 주요 부위: 겨드랑이(액와), 쇄골 아래 흉벽 앞쪽
  • 연관 부위: 어깨, 상완, 전완

2. 감각 이상(저림)

  • 환자의 90% 이상에서 발생
  • 일반적으로 모든 다섯 손가락에 영향을 미치지만, 주로 4번째와 5번째 손가락(척골신경 분포)에서 더 심함

3. 근력 약화

  • 물건을 떨어뜨림
  • 악력 저하

신경성 흉곽출구 증후군(NTOS)과의 관계

많은 환자들에서 소흉근 증후군(NPMS)과 신경성 흉곽출구 증후군(neurogenic thoracic outlet syndrome; NTOS)이 공존합니다. 그러나 두 질환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NPMS만 있는 환자의 특징:

  • 후두부 두통이 적음
  • 목, 쇄골상부, 어깨 통증이 감소됨
  • 후두부 두통과 목 통증이 있더라도 대개 경미함
  • 근력 약화가 덜 빈번함

소흉근 증후군만 있는 환자들은 주로 쇄골 아래와 겨드랑이 부위의 통증과 상지의 감각 이상을 호소하는 반면, NTOS와 NPMS가 함께 있는 환자들은 목과 후두부 통증도 함께 호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론 및 다음 단계

소흉근 증후군은 많은 의료 전문가들이 간과하는 상지 통증의 중요한 원인입니다. 특히 운동선수와 반복적인 상지 움직임을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 높은 발병률을 보입니다. 증상이 오래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전문가의 평가를 받아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글 안내

이 글에서는 소흉근 증후군의 개념, 원인,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소흉근 증후군의 정확한 진단 방법과 효과적인 치료 운동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손 저림과 팔 통증으로 고생하고 계신다면, 다음 글에서 제시하는 자가 진단법과 운동법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구독과 알림 설정을 통해 소흉근 증후군 완화를 위한 전문적인 정보를 놓치지 마세요!

참고문헌

Sanders, R. J., & Annest, S. J. (2017). Pectoralis minor syndrome: subclavicular brachial plexus compression. Diagnostics, 7(3), 46. 


참고: 이 글은 의학 연구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나,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지속적인 통증이나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