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trainer

운동 퍼포먼스를 극대화하는 고관절 신전 훈련: 스쿼트,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힙 쓰러스트의 효과 비교

physio_lab. 2025. 3. 31. 10:00

서론

운동선수와 일반 피트니스 애호가들에게 고관절 신전력(hip extension force)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스프린트, 점프, 방향 전환과 같은 역동적인 움직임에서는 강한 고관절 신전력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강화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운동으로는 백 스쿼트(back squat, SQ), 루마니안 데드리프트(romanian deadlift, RDL), 그리고 바벨 힙 쓰러스트(barbell hip thrust, BHT)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19년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impact factor: 2.5)에 소개된 Delgado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백 스쿼트와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바벨 힙 쓰러스트 등 세 가지 운동이 고관절 신전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운동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고 실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반응형

운동별 특징 및 근 활성도 비교

1. 백 스쿼트 (Back Squat, SQ)

운동 퍼포먼스를 극대화하는 고관절 신전 훈련: 스쿼트,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힙 쓰러스트의 효과 비교
백 스쿼트 (Back Squat, SQ)

 

백 스쿼트는 고관절과 무릎을 굴곡(flexion)에서 완전 신전(extension)까지 움직이게 하는 대표적인 복합 운동입니다. 엉덩이의 대둔근(큰볼기근; gluteus maximus), 허벅지 앞에 대퇴사두근(넙다리네갈래근; qudriceps femoris), 허벅지 뒤에 햄스트링(넙다리뒤근; hamstring) 근육이 활성화되며, 체중 이동과 밸런스를 유지하는 코어 근육 또한 강화됩니다.

Delgado 등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쿼트는 엉덩이와 무릎의 신전근이 동시에 높은 활성도를 보이며, 이는 운동 수행 능력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1RM(최대 1회 반복) 수행 시 대퇴사두근 중 외측광근(가쪽넓은근; vastus lateralis)의 근 활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점프와 같은 활동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2.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Romanian Deadlift, RDL)

운동 퍼포먼스를 극대화하는 고관절 신전 훈련: 스쿼트,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힙 쓰러스트의 효과 비교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Romanian Deadlift, RDL)

 

루마니안 데드리프트는 엉덩이 신전과 햄스트링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운동으로, 대둔근(gluteal muscles), 햄스트링 중 넙다리두갈래근(대퇴이두근; biceps femoris), 척추 기립근(spinal erectors)을 주요 타깃으로 합니다. Delgado 등의 연구에 따르면, 루마니안 데드리프트는 햄스트링과 대둔근을 동시에 활성화하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웨이트리프팅 동작(클린 및 스내치)의 수행 능력을 높이는 데 유용합니다. 루마니안 데드리프트는 바벨 힙 쓰러스트와 유사한 수준의 둔근 활성도를 보였으며, 엉덩이와 허벅지 뒤쪽 근육을 효과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 바벨 힙 쓰러스트 (Barbell Hip Thrust, BHT)

운동 퍼포먼스를 극대화하는 고관절 신전 훈련: 스쿼트,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힙 쓰러스트의 효과 비교
바벨 힙 쓰러스트 (Barbell Hip Thrust, BHT)

바벨 힙 쓰러스트는 최근 피트니스 업계에서 주목받는 운동으로, 둔근을 최대로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엉덩이의 마지막 신전 범위에서 둔근이 최대한 수축되면서 높은 수평 힘(horizonal force production)을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Delgado 등의 연구에서는 바벨 힙 쓰러스트가 스쿼트보다 높은 둔근 활성도를 보인다고 보고했지만,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와 비교했을 때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또한, 바벨 힙 쓰러스트의 단점으로는 높은 무게를 사용할 경우 고관절에 가해지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정한 고관절 가동 범위에서만 힘을 발휘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실전 적용 방법 및 프로그램 설계

1. 운동 목적에 따른 선택

  • 전신 근력 및 운동 수행 능력 향상: 스쿼트(SQ)를 기본으로 하되, 무릎과 엉덩이의 신전력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둔근과 햄스트링 강화: 루마니안 데드리프트(RDL)와 바벨 힙 쓰러스트(BHT)를 병행하면 더욱 균형 잡힌 하체 근력 향상이 가능합니다.
  • 스프린트 및 점프 능력 향상: 바벨 힙 쓰러스트(BHT)의 높은 둔근 활성도를 활용하여 수평 힘을 증가시키는 훈련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2. 트레이닝 프로그램 예시

(1) 운동 수행 빈도

  • 주 3~4회 하체 운동을 실시하며, 스쿼트,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바벨 힙 쓰러스트를 번갈아 가며 수행
  • 운동 강도는 1RM의 60~85% 범위에서 조절

(2) 운동 루틴 예시

운동 종목 운동 세트 x 반복 횟수 휴식 시간
백 스쿼트 4 x 6-8 90초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3 x 8-10 60초
바벨 힙 쓰러스트 3 x 10-12 45초
보조 운동 (레그 프레스, 힙 어브덕션) 3 x 12-15 30초

 


결론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1. 바벨 힙 쓰러스트(BHT)는 둔근 활성도가 가장 높지만, 모든 운동에서 둔근 활성도는 높게 나타남
  2. 스쿼트(SQ)는 무릎과 엉덩이를 동시에 강화할 수 있어 종합적인 하체 강화에 유리
  3. 루마니안 데드리프트(RDL)는 햄스트링과 둔근을 효과적으로 자극하는 운동으로 스쿼트와 함께 수행하면 균형 잡힌 근력 향상이 가능
  4. 바벨 힙 쓰러스트(BHT)는 둔근 활성도를 높이기 위한 보조 운동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

따라서, 특정한 운동 목적에 따라 적절한 운동을 선택하고, 개별적인 신체 특성에 맞춰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조합

  • 운동 퍼포먼스 향상: 스쿼트 +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 힙 & 햄스트링 집중 강화: 힙 쓰러스트 +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 전반적인 하체 근력 향상: 스쿼트 + 힙 쓰러스트 +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운동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자신의 목표와 신체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운동을 조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하체 강화 전략을 세운다면, 보다 나은 퍼포먼스를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Delgado, J., Drinkwater, E. J., Banyard, H. G., Haff, G. G., & Nosaka, K. (2019). Comparison between back squat, Romanian deadlift, and barbell hip thrust for leg and hip muscle activities during hip extension. The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33(10), 2595-26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