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요근(Iliopsoas)의 해부학과 기능: 임상적 의의
서론
인체의 심부 근육 중 하나인 장요근(엉덩허리근; Iliopsoas)은 코어 근육으로서 일상생활과 스포츠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본 글에서는 2020년 학술지 Current Sports Medicine Reports(impact factor: 1.7)에 발표된 Lifshitz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장요근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장요근이 인체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특히 장요근의 독특한 해부학적 특성이 어떻게 다양한 동작에 기여하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된 임상적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장요근의 해부학적 구조
장요근은 크게 두 개의 주요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요근(Psoas major)과 장골근(Iliacus)입니다. 이 두 근육은 해부학적으로 구별되지만 기능적으로는 하나의 단위로 작용합니다.
대요근(Psoas Major)
대요근은 흉추 5번부터 요추 5번까지의 척추 횡돌기, 척추체, 그리고 추간판에서 기시하는 긴 근육입니다. 이 근육은 척추에서 시작하여 골반을 통과해 대퇴골까지 이어지는 특징적인 해부학적 경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장골근(Iliacus)
장골근은 대요근보다 짧은 근육으로, 장골와(iliac fossa)의 상부 2/3, 장골능(iliac crest)의 복측 가장자리, 그리고 천골익(sacral ala)에서 기시 합니다. 장골근에는 내측과 외측 다발이 존재합니다.
장요근 건(Iliopsoas Tendon)
대요근과 장골근은 요추 5번부터 천추 2번 수준에서 합쳐져 장요근을 형성하고, 대퇴골의 소전자(lesser trochanter)에 장요근 건으로 부착됩니다. 이 건은 단일, 이중, 또는 삼중 건다발 변이를 가질 수 있습니다. 대요근 건은 장골근 건보다 내측에 위치합니다.
장요근과 고관절의 관계
장요근의 심부는 고관절 순(labrum)의 전방 및 외측에 위치합니다. 이러한 장요근과 관절순 사이의 밀접한 관계는 임상적으로 중요하며, 관절내 고관절 장애 및 병리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
장골치골낭 (iliopectineal 또는 iliopsoas bursa)
장골치골낭은 인체에서 가장 큰 활액낭으로, 장요근 근육, 골반의 골 표면, 그리고 근위 대퇴골 사이에 위치합니다.
소요근(Psoas Minor)
소요근은 대요근 및 장골근과 별개의 근육으로, 복부의 후벽에 위치하며 요추 측면에 있습니다. 이 근육은 인구의 약 59%에서 65%만 존재합니다. 존재할 경우, 흉추 12번과 요추 1번 척추에서 기시하여 장치골 융기(iliopubic eminence)에 부착되며, 따라서 약한 체간 굴곡근으로 작용하지만 하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장요근의 주요 기능
장요근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 주된 고관절 굴곡근: 장요근은 고관절 굴곡(hip flexion)의 주된 근육입니다.
- 골반 전방 경사: 골반을 전방으로 기울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고관절 외회전: 고관절의 외회전(external rotation)에 기여합니다.
- 코어 안정화: 척추에 부착되어 있어 코어 근육으로 간주됩니다.
- 일상생활 및 스포츠 활동 지원:
- 앉기와 척추를 곧게 세우는 자세 유지
- 달리기에서 상당한 기여(특히 스윙 단계 시작 시)
- 차기 동작에서 높은 활성화 보임(전체 차기 움직임 동안 활성화)
장요근과 유사 근육 비교 분석
장요근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른 근육들과 비교하여 장요근의 특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근육 | 기시 | 정지 | 주요 기능 | 특징 |
장요근(Iliopsoas) | 대요근: T5-L5 척추 장골근: 장골와, 장골능 |
대퇴골 소전자 | 고관절 굴곡, 외회전 | 고관절과 척추 연결, 코어 안정화 |
대퇴직근 (Rectus femoris) |
전하장골극, 비구상연 | 슬개골, 경골 결절 | 고관절 굴곡, 슬관절 신전 | 두 관절 근육 |
장요근근(Sartorius) | 전상장골극 | 경골 내측 표면 | 고관절 굴곡, 외회전, 슬관절 굴곡 | 인체에서 가장 긴 근육 |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 latae) |
장골능, 전상장골극 | 장경인대 | 고관절 굴곡, 내회전, 외전 | 장경인대를 통한 간접 작용 |
내전근(Adductors) | 치골, 좌골 | 대퇴골 내측 | 고관절 내전, 일부 굴곡 | 다양한 구성 근육 포함 |
장요근은 다른 고관절 굴곡근들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척추-고관절 연결: 장요근은 척추와 하지를 직접 연결하는 유일한 근육입니다. 이는 자세 유지와 체간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심부 위치: 다른 대부분의 고관절 굴곡근들이 표면에 가깝게 위치한 반면, 장요근은 심부에 위치합니다.
- 다양한 움직임에서의 중요성: 장요근은 달리기, 차기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서 주요 역할을 담당합니다.
- 코어 안정화: 장요근은 요추에 부착되어 있어 체간 안정화에 기여합니다.
장요근 관련 임상적 의의
장요근의 해부학적 특성과 기능적 중요성은 다양한 임상 상황과 연관됩니다:
장요근과 요통
장요근은 요추에 부착되어 있어 요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장요근의 과도한 긴장이나 약화는 척추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요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고관절 병리와의 관계
장요근의 심부는 고관절 순 가까이에 위치하며, 이는 관절내 고관절 충돌 증후군이나 고관절 순 손상과 같은 병리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
스포츠 손상
달리기나 차기 동작에서 장요근의 높은 활성화는 스포츠 선수들에게 장요근 긴장이나 손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장요근과 자세
장요근의 과도한 긴장은 요추 전만증 증가와 골반 전방 경사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자세 불균형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결론
장요근은 그 특유의 해부학적 구조와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인체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고관절 굴곡의 주된 근육으로서 뿐만 아니라, 코어 안정화와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합니다. 장요근의 해부학적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임상 의료 전문가, 물리치료사, 스포츠 과학자, 그리고 운동 지도자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최신 연구는 장요근이 단순한 고관절 굴곡 이상의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 근육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합니다. 앞으로의 연구는 장요근의 기능과 관련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장요근 관련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문헌
Lifshitz, L., Sela, S. B., Gal, N., Martin, R., & Klar, M. F. (2020). Iliopsoas the hidden muscle: anatomy, diagnosis, and treatment. Current Sports Medicine Reports, 19(6), 235-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