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therapist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 원인, 증상 및 효과적인 치료법 총정리

physio_lab. 2025. 4. 20. 10:00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이란?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상완이두근 건병변; Biceps tendinopathy)은 어깨 앞쪽에 통증을 유발하는 흔한 근골격계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위팔두갈래근 중 긴 갈래에 해당하는 근육의 힘줄(건)에서 발생하는 손상으로, 일상생활과 운동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힘줄병변은 단순한 염증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힘줄 내부 구조의 변화와 기능적 손상을 포함하는 보다 복합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 의학에서는 단순 '건염(tendinitis)'이라는 용어보다 '건병변(tendinopathy)'이라는 용어를 더 선호합니다.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 원인, 증상 및 효과적인 치료법 총정리

해부학적 이해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은 짧은 갈래(단두)와 긴 갈래(장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힘줄병변이 주로 발생하는 긴갈래는 어깨뼈의 위관절오목결절(관절상 결절; supraglenoid tubercle)과 상부관절와순(superior glenoid labrum)에서 시작됩니다.

위팔두갈래근 긴 갈래의 주요 기능은:

  • 위팔뼈머리(상완골두)의 내림 역할(humeral head depressor)
  • 오목위팔관절(관절와상완관절)의 전방 안정성 제공(glenohumeral anterior stabilizer)

이 근육은 어깨 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적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반응형

발생 원인과 메커니즘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1. 과사용(Overuse):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과도한 하중으로 인한 미세 손상
  2. 외상(Trauma): 갑작스러운 부상이나 충격
  3. 노화(Aging): 나이가 들면서 힘줄의 탄력성 감소와 재생 능력 저하
  4. 불량한 생체역학(Poor biomechanics): 잘못된 자세나 운동 기술

힘줄병변의 발생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 힘줄 내 세포의 변화나 증식
  • 콜라겐(collagenous) 구조의 섬유 파괴
  • 비콜라겐 기질(noncollagenous matrix)의 증가
  • 혈관 신생과 신경 성장 인자의 변화

이러한 변화는 힘줄의 기능적 능력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유발합니다.

증상 및 진단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어깨 앞쪽의 국소적 통증
  • 팔을 들어 올리거나 회전시킬 때 악화되는 통증
  • 해당 부위의 촉진 시 압통
  • 어깨 관절 움직임의 제한
  • 어깨 앞쪽의 부종이나 열감
  • 위팔 근력 약화

진단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1. 자세한 병력 청취
  2. 신체 검사(특수 테스트 포함)
  3. 영상 검사(초음파, MRI)
  4. 감별 진단을 통한 다른 어깨 질환과의 구분

동반 질환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은 단독으로 발생하기보다는 주로 다른 어깨 손상과 함께 발병합니다. 특히 어깨 돌림띠(회전근개; rotator cuff) 손상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1982년 Neviaser 등이 89명의 어깨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과 어깨 돌림띠 손상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두 질환의 병태생리학적 연관성을 시사합니다.

동반될 수 있는 다른 질환들:

  • 어깨 관절와순 파열(SLAP 병변)
  • 어깨 충돌 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 어깨관절 불안정성(Shoulder instability)
  • 견갑골 이상 운동(Scapular dyskinesis)

치료 및 관리 방법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의 치료는 증상의 심각도와 환자의 활동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 의학계에서 권장하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보존적 치료:

  • 휴식과 활동 수정: 증상을 악화시키는 활동을 피하고 적절한 휴식 취하기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통증과 염증 감소를 위한 약물 치료
  • 물리치료: 운동 요법, 수동 치료, 모달리티 등을 포함한 전문적 재활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심한 통증과 염증에 대한 국소 주사 치료
  • 힘줄 천공술(dry needling): 손상된 힘줄 부위의 혈류 개선 및 치유 촉진

수술적 치료:

  •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 동반된 심각한 구조적 손상이 있는 경우
  • 완전 파열이 발생한 경우

연구 기반 운동 중재법

2022년 McDevitt 등은 29명의 전문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 치료에 적합한 중재법에 대한 델파이 조사(Delphi Study)를 실시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운동 중재법이 권장됩니다: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 원인, 증상 및 효과적인 치료법 총정리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 저항 운동

권장되는 저항 운동:

  • 위팔두갈래근(상완이두근; Biceps brachii) 저항 운동
  • 앞톱니근(전거근; Serratus anterior) 저항 운동
  • 어깨뼈 안정화(견갑골 안정화) 운동

권장되는 스트레칭:

  •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스트레칭
  • 작은가슴근(소흉근; Pectoralis minor) 스트레칭

흥미롭게도, 전문가들은 위팔두갈래근 자체의 스트레칭은 권장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힘줄병변이 있는 상태에서 해당 근육을 직접적으로 스트레칭하는 것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 원인, 증상 및 효과적인 치료법 총정리
큰가슴근(대흉근; Pectoralis major) 스트레칭

회복을 위한 일상생활 관리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의 효과적인 회복을 위해 다음과 같은 일상생활 관리가 중요합니다:

  1. 인체공학적 작업환경 조성: 컴퓨터 작업 시 올바른 자세 유지
  2. 수면 자세 개선: 환측 어깨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자세로 수면
  3. 점진적인 활동 복귀: 급격한 활동 증가는 피하고 단계적으로 복귀
  4. 적절한 워밍업과 쿨다운: 운동 전후 적절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5. 규칙적인 휴식: 반복적인 작업 중 정기적인 휴식 시간 확보
  6. 균형 잡힌 영양 섭취: 힘줄 재생에 필요한 단백질과 비타민 섭취

질환 예방을 위한 팁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들:

  1. 적절한 운동 기술 습득: 올바른 형태로 운동하기
  2. 점진적인 운동 강도 증가: 갑작스러운 운동 강도 증가 피하기
  3. 균형 잡힌 근력 발달: 어깨 주변 근육의 균형적 발달
  4. 정기적인 스트레칭: 흉근과 어깨 후방 근육의 스트레칭
  5. 어깨 안정화 운동: 어깨뼈와 관련된 근육의 기능 향상
  6. 과사용 피하기: 반복적인 움직임 후 충분한 회복 시간 확보

결론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은 어깨 앞쪽의 통증을 유발하는 흔한 질환으로, 적절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이 질환은 단순한 염증보다는 힘줄 내부 구조의 변화와 기능적 손상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상태입니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휴식, 약물 치료, 그리고 전문가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적절한 운동 중재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위팔두갈래근과 앞톱니근의 저항 운동, 어깨뼈 안정화 운동, 그리고 가슴근육의 스트레칭이 권장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질환이 다른 어깨 질환과 함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종합적인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적절한 예방과 조기 중재를 통해, 위팔두갈래근 힘줄병변으로 인한 통증과 기능 제한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어깨 기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Raney, E. B., Thankam, F. G., Dilisio, M. F., & Agrawal, D. K. (2017). Pain and the pathogenesis of biceps tendinopathy. American journal of translational research, 9(6), 2668.

 

McDevitt, A. W., Cleland, J. A., Addison, S., Calderon, L., & Snodgrass, S. (2022).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of biceps tendinopathy: an international Delphi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17(4), 677.

 

반응형